본문 바로가기
잡학지식

띠 입춘[立春] 기준이라고?

by 차리차드 2022. 2. 4.
반응형

입춘(立春)은 24절기의 첫 번째로, 음력 정월(正月)의 절기이며 봄의 시작으로 본다. 태양의 황경이 315˚에 드는 때이며 양력으로 대개 2월 4일~2월 5일 경이며 간혹 2월 3일인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사주가들의 다수설에서는 새로운 띠가 입춘의 절입시각부터 시작한다고 여기고, 소수설에서는 동짓날의 절입시각부터 시작한다고 간주한다.

 

1년은 봄에서 시작하고 봄은 정월에서 시작하고 24절기는 정월의 입춘 절기에서 시작한다. 이런 이유로 입춘 일시가 띠를 구별하는 기준점이 된다. 김일권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는 "띠는 태양의 위치를 따라 매기는 시간 요소여서 24절기 중 1년의 시작 절기인 입춘을 기준으로 따진다"고 말한다.

 

그래서 이 날을 기준으로 입춘 전은 소띠, 입춘 후는 호랑이띠 라고 함. 같은 22년 생이지만 띠가 달라질수 있다고 하네. 헐.

 

더 정확하게는 입춘이라도 띠가 바뀌는 정확한 시간이 있다고 하는데, 그걸 입춘시 라고 한다함. 올해는 새벽5시51분 이라고 한다. 이날 태어났어도 이 시간 이전에 태어나면 그 전해의 띠가 되는거고, 저 시간 이후에 태어나면 그 해의 띠를 사용하는 것 이라고 한다.

 

또한 띠를 기준으로 하는 삼재도 입춘시를 기준으로 들고 난다고 함.

 

세울 건建, 볕 양陽, 많을 다多, 경사 경慶 입춘대길 건양다경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라는 의미로 남인의 거두 미수 허목이 만들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이날 '입춘대길'(立春大吉: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이라는 축원을 대문이나 대들보, 천장에 붙였다. 이 외에도 소문만복래(웃으면 만복이 온다) 등 축원도 자주 나온다. 

농가에서는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뿌리수를 통해 그해 농사가 잘 될지 어떨지를 점치기도 하였다. 3은 풍작, 2는 평년작, 1이나 없으면 흉작. 은근히 과학적이다.

음력으로 한 해에 양력 절기인 입춘이 두 번 들어 있으면 '쌍춘년'(雙春年)이라고 하여 그해에 결혼하는 것이 길하다고 한다. 즉, 윤달이 든 해로 2014년이 대표적인데, 기원전부터 지금까지 윤달이 12번밖에 없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는 시헌력에서는 19년 동안 윤년이 7번 있도록 배치한다. (여기에 황금돼지해 드립까지 낀 게 압권) 예를 들어 당장 2017년과 2020년이 윤달이 있다. 애초 윤달이 수백 년 만에 한 번 돌아온다면 관련된 풍속이나 속설이 전승되지도 않거나, 있다 해도 흉한 내용이었을 것이다.

입춘날 입춘절식이라 하여 궁중에서는 오신반(五辛盤)을 수라상에 얹고, 민가에서는 세생채(細生菜)를 만들어 먹으며, 함경도에서는 민간에서 명태순대를 만들어 먹는다. 오신반은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요리로 매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움파, 산갓, 승검초, 미나리 싹, 무 싹, 파, 마늘, 달래 등 강한 자극을 가진 나물 중 다섯 가지를 골라서 만들었다고 한다. 겨울 동안 결핍되었던 채소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것을 본떠 민간에서는 입춘날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다가 무쳐서 입춘 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생겨났는데 이를 세생채라 하여 파·겨자·당귀의 어린 싹으로 입춘채(立春菜)를 만들어 이웃간에 나눠먹는 풍속도 있었다.

일본에서는 입춘 전날을 세쓰분(세츠분)이라고 하여 콩을 뿌리고 김밥을 먹는 행사를 한다. 절분 가운데 유일한 명절이라고 한다. 하지만 중국, 한국에서는 옛날처럼 절분을 쇠는 풍습은 거의 사라졌다. 반면 입춘 당일날은 한국만큼 중요시하지 않는다. 입춘대길 축원문을 써 붙여두는 풍습이 있긴 하나 한국만큼 흔하지 않으며, 그나마도 건양다경이 아니라 '진방화촉'(鎮防火燭: 불씨를 조심하자)라는 말을 곁들인다.

오늘은 이렇게 띠 입춘 기준 으로 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았네. 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