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지식

청명(淸明) 한식(寒食) 날 산소 손 보는 이유

by 차리차드 2022. 4. 3.
반응형

청명(淸明) 한식(寒食) 

청명(淸明)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로 24절기중 다섯번째 절기 입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고, 보통 4월 4일에서 5일 사이가 되어 이날은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으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습니다.

 

국가공인 기념일상으로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며 한식 과도 자주 겹쳐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라는 말도 있습니다.

 

한식(寒食)은 동지(冬至) 후 105일째 되는 날로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입니다.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꼽았습니다.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대 중국의 풍습에서 시작되었는데요. 그래서 금연일(禁烟日), 숙식(熟食), 냉절(冷節)이라고도 합니다.

 

한식은 음력을 기준으로 한 명절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날은 음력 2월에 있을 수도 있고, 음력 3월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2월 3월 한식을 구분하는 관념이 있고, 2월에 이날이 드는 해는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기며, 3월에 이날이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 개사초를 하지 않습니다.

 

창명과 한식의 날씨, 산소 손 보는 이유

농사력으로는 이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 됩니다. 이날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하는데요.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로 날씨와 관련된 속신이 많습니다.

 

이때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점쳤습니다. 바닷가에서는 이날 날씨가 좋으면 어종이 많아져서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날씨가 좋기를 기대합니다.

 

반면에 이날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파도가 세게 치면 물고기가 흔하고, 날씨가 맑아도 물밑에서 파도가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경남 사천에서는 이날의 날씨가 좀 어두워야 그 해 농작물(農作物)에 풍년(豊年)이 들고, 너무 맑으면 농사(農事)에 시원치 않은 것으로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어떤 지역에서는 이날에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습니다.

 

제주도에서 청명이나 한식은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어서 특별히 택일(擇日)을 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해도 좋다고 믿었습니다. 또 이날은 손이 없기 때문에 묘자리 고치기, 비석 세우기,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좋습니다.

 

청명 한식

한식 유래

 

한국에서 한식을 언제부터 명절로 여겼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고려 문종 24년(1070) 한식과 연등 날짜가 겹치므로 연등을 다른 날로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따라서 늦어도 고려 전기에는 한식이 중요한 명절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날에는 금화(禁火)와 성묘의 풍습, 투란(鬪卵: 계란 위에 누가 그림을 더 잘 그리는지를 겨루는 유희) 놀이가 있었으며, 소나기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부는 날로 여겨졌습니다. 고려시대에 한식의 시기가 변하였는데, 고려 후기에는 동지 후 105일이었지만, 전기에는 그보다 7일 정도 빠른 양력 3월 30일 무렵이었던 것으로 확인됩니다.


조선시대에도 이날은 중요한 명절로 지켜졌습니다. 한식을 주제로 한 많은 시가 전해지는 사실도 이를 반영한다고 볼수있습니다. 이날에는 금화와 개화가 행해졌는데요. 세종 13년(1431)에 한식 사흘 동안 불의 사용을 금지한다는 명령이 내려진 적이 있었으며, 매년 임금은 내병조(內兵曹)에서 바친 버드나무를 마찰하여 일으킨 불을 궁중에 있는 관청과 대신 집에 나누어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상 숭배였습니다. 왕실에서는 종묘 제향을 지냈고, 종묘에서 제외되었거나 후손이 없는 왕과 비빈 등에 대해서는 성묘를 했고, 허물어진 능묘를 보수하기도 했습니다.


또 민간에서는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절사(節祀)라 하여 산소로 올라가 성묘를 했는데, 그 중에서도 이날과 추석이 가장 성하여 교외로 향하는 길에 인적이 끊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편 농가에서는 이날을 기하여 밭에 파종을 했습니다.


이렇듯 이날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특별한 행사 없이 지내는 경우도 많고, 특히 불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은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도 조상 숭배와 관련한 많은 행사들은 하고 있습니다. 집안에 따라서는 사당에서 조상 제사를 지내기도 하지만, 많은 가정에서는 성묘를 하고 간단한 제사를 지냅니다. 이때 서울 지역에서는 제사에 앞서 먼저 산신제를 지내기도 합니다.

 

성묘의 대상은 기제사를 받는 조상도 있지만, 기제사를 지내지 않는 먼 조상이나 후손이 없는 사람인 경우도 많습니다.
또 손 없는 날 또는 귀신이 꼼짝 않는 날로 여겨 산소에 손을 대도 탈이 없는 날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산소에 개사초(改莎草: 잔디를 새로 입힘)를 하거나 비석 또는 상석을 세우거나 이장을 합니다.


한편, 이날은 농사를 준비하는 시점이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소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소를 부려보기도 하고, 볍씨를 담급니다. 그러나 씨를 뿌리면 말라죽거나 새가 파먹는 고초일(苦草日)이라 하여 씨를 뿌리지는 않습니다.

 

또 강원도 지역에서는 과일나무의 벌어진 가지 사이로 돌을 끼워넣는 과일나무 시집보내기를 하는데, 열매를 잘 열리게 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자, 여기까지 청명 한식 유래 그리고 산소 손 보는 이유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요즘 아침 저녁으로 날씨가 많이 쌀쌀합니다. 환절기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